Investment/칼럼4 17년 7월 첫째주 - 금리로 보는 국내 주식시장 최근들어 코스피 지수가 많이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자료 : 연합뉴스 이 시점에서 과연 코스피가 더 갈것이냐 말것이냐 논란이 많습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더 갈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분들은 과거 박스권 장세에 대한 학습효과가 있습니다. 또 전문가의 말을 믿지 말라는 세뇌(?)교육 혹은 하락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죠. 그래서 수익권으로 돌아선 보유중인 펀드를 환매하거나 주식을 파는 모습이 많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주식이든 뭐든 올라갈 때 크게 먹고 내려갈 때 덜 깨지는 것이 돈 버는 길이라고 하죠. 성급하게 매도하면 미래에 확보된 수익을 포기하는 것입니다. 운좋게 떨어지면 다행이지만 그렇다고 떨어졌다고 다시 사시나요? 보통은 더 떨어질거야 이러면서 기.. 2017. 7. 8. 헤게모니(Hegemony)에 투자하라 (3) HEGEMONY 전 편에는 동부증권 에서 발간한 '투자의 定石 - 헤게모니에 투자하라' 보고서의 내용 중 제1국면, 제2국면까지의 내용을 최근 반도체 산업에 대한 내용으로 다루었습니다. 전 편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헤게모니의 발생은 하나의 싸이클을 가지는 파동으로 정리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파동의 각 국면에 따라 4가지 국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제1국면은 구조조정이 마무리되고 수요의 회복이 발생하는 기업이나 산업의 턴어라운드 국면입니다. 신호는 매출의 턴어라운드였습니다.[자료] : 동부증권 - 투자의 定石 - 헤게모니에 투자하라 제2국면은 헤게모니를 가진 기업들의 이익이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서 극대화 되는 국면입니다. 주가 역시 가장 많이 오르는 국면이죠. 신호는 매출액 증가를 초과.. 2017. 7. 2. 헤게모니(Hegemony)에 투자하라 (2) HEGEMONY 전 편에는 최근 반도체산업에서 발생하는 헤게모니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습니다. 이번 편에는 산업과 기업에서 발생하는 헤게모니 현상을 일반화시켜서 정리해보고 현재의 반도체 산업의 헤게모니에 대해 진단해보고 향후 전망을 판단해보죠. 이번 글은 동부증권 스몰캡팀의 리포트 '투자의 定石 - 헤게모니에 투자하라'를 참고하여 정리하여 적어봅니다.어쩌다 보니 이 글 제목과 동일하군요. 이 리포트에서는 '산업 구조조정 이후 되살아난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공급부족 상황에서 거래의 헤게모니를 보유한 기업은 상상을 초월하는 실적을 통해 가파른 주가상승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주도주라고 부른다'라고 합니다. 이를 반도체 산업에 적용해보면 딱 들어맞는군요. IoT, AI, 자율주행, 모바일기기의 발전이 반도체의 새.. 2017. 7. 2. 헤게모니(Hegemony)에 투자하라 (1) HEGEMONY 헤게모니(Hegemony)가 뭘까요? 한번쯤 들어는 보셨을 겁니다. 위키백과에서는 아래와 같이 '패권'이란 단어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패권(覇權, 그리스어: ἡγεμονία 헤게모니아[*], 영어: hegemony 헤게모니[*])이란 어떤 집단을 주도할 수 있는 권력이나 지위이자 어느 한 지배 집단이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행사하는 정치, 경제, 사상 또는 문화적 영향력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지배 집단의 리더가 영향력을 갖기 위해서는 다수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 용어는 본래 특정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의 주변 도시 국가에 대한 정치적 지배를 의미했지만, 점차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게 되었는데, 특히 맑스주의자인 안토니오 그람시의 문화적 헤게모니 이론이 그 예이다. 이 용어는 폭력이나.. 2017. 7.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