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Note
Weekly Note에서는 주간단위로 집계된 주요 주식시장 지표 및 경제지표를 정리해 간단히 리뷰합니다.
2017년 07월 7일
7월 첫째주
1. Market Valuation (시장 밸류에이션)
1) PER/PBR
현재 KRX100의 PBR은 지수의 상승으로 지속적으로 올라왔으나 PER의 경우 기업들의 추정이익의 증가로 지수의 상승에도 불구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흐름이 나옵니다.
2) GDP대비 시가총액(KOSPI + KOSDAQ)
현재 GDP대비 코스피+코스닥의 시가총액 비율은 103.66%로 과거 평균보다는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나 추후 기업의 이익증가를 감안하면 부담스럽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2. Yield Rate (주요 상품 수익률 현황)
2016년 말 채권금리의 상승으로 주식시장의 상대적인 주가수익률(1/PER)은 낮아졌지만 17년 기업이익의 상향조정으로 채권대비 주식에 대한 매력은 여전하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ROE가 높아진 점은 긍정적입니다.
3. Market Sentiment (시장 심리상태)
VKOSPI를 통해 알아본 시장의 심리상태는 북한의 미사일 발표에도 불구하고 크게 동요되었다고 보기 힘든 수준입니다.
4. 수급현황
근래들어 기관의 지속적인 매도세가 눈에 띕니다. 지수상승에 따른 개인들의 펀드 환매러시에 따른 매도자금으로 판단됩니다.
(환매하시면 나중에 후회하실텐데 말이죠)
5. Asset Allocation (자산배분)
FED모델(채권대 주가기대수익률의 차이)로 바라본 주식시장은 평균보다 약간 저평가된 상태이며
GDP모델(GDP대비 시가총액)으로 바라본 주식시장은 평균에서 벗어난 고평가 구간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기업이익이 증가하는 현 상황에서는 보수적인 GDP모델을 따르기보다는 FED모델을 신뢰할만한 상황이라고 판단합니다.
제가 설계해둔 모델에서는 FED모델과 GDP모델을 적절히 가중평균하여 주식대 채권비중을 27.81%대 72.19%를 권장합니다.
하지만 현 상황은 FED모델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상황으로 FED모델을 100% 따라 주식 77.81%보유도 큰 무리는 없다고 판단합니다.
6. 금리 스프레드
1) 국고채10년물 - 국고채3년물
국채 장단기 스프레드가 확대되는 모습으로 경기상황은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2) 회사채3년물 - 국고채3년물
국채와 회사채간의 신용스프레드 역시 큰 변화가 없이 안정적으로 판단됩니다.
7. Macro
1) 환율
원화의 약세, 유로화의 강세가 눈에 띕니다.
2) 유가
WTI의 경우 $40~$45선에서 가격흐름이 지속됩니다.
3) 화학 기초제품
4) 원자재
5) 폴리실리콘, 메모리가격
메모리의 경우 DRAM의 가격상승이 재개되었으며, NAND의 경우 상승흐름이 지속됩니다.
6) 펄프, 천연가스
7) 석탄(제철용) , 철광석(Fine)
원료탄 가격은 급등이후 안정화 국면, 철광석의 경우 급등후 조정국면으로 보여집니다.
8) 컨테이너지수(HRCI), 건화물지수(BDI)
9) 건설금액지수, 설비투자증가율
10) 경상수지, 수출금액지수
11) BSI, CSI
12) KRX100 자기자본이익(ROE), 경기선행지수
13) 은행 금리
'세상을 통찰하는 그날까지...'
'Investment >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방노트 : 진성티이씨 (3) | 2017.07.02 |
---|